'오늘의 일에서 나는 어떤 것을 배웠는지' - 학습
자료구조와 제너릭
1. 자료구조
-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조직화하는 방식
-데이터 처리의 핵심 원리 중 하나
-성능과 효율성을 결정짓는 요소
번외: 기능 뒤에 마침표를 찍어서 활용가능한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음
2. 배열
length로 길이 파악 가능
3. 리스트
배열은 메모리 소모가 적지만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음
리스트는 메모리 소모가 크지만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 가능
4. 스택
-후입선출: 나중에 들어간 자료를 먼저 처리함. 탑.
-주로 함수 호출, 역추적, 재귀 알고리즘에 활용됨
-Push(삽입)와 Pop(삭제)
5. 큐
-선입선출: 옛날에 들어온 자료부터 먼저 처리함. 파이프.
-Enqueue(삽입)과 Dequeue(삭제)
6. 딕셔너리
-키&값
-리스트와 함께 사용 가능 (아파트)
-딕셔너리의 키를 정하고 값에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. (ex: [무기군]키&[무기들을 요소로 갖는 리스트]값)
7. 제너릭
-다양한 자료형에 대해 일반화된 코드를 작성하는 기법
-어떤 코드를 쓸 때, 제너릭은 어떤 자료형이 오면 그 자료형으로 변해줌(메타몽)
-특정 자료형이 종속되지 않아 유연성 증가
-제너릭의 <T>는 템플릿의 약자
-잘못된 자료형 기입시 오류가 날 수 있으므로 제한을 걸어서 사용
-제한 걸기: where T : (자료형 or 클래스)
8. 오브젝트 풀
-반복적으로 생성되고 삭제되는 오브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디자인 패턴
-메모리 관리 / 성능 최적화
-오버헤드 : 어떤 동작/처리에서 드는 추가적 부하/비용
9. 10000번의 Update()호출
-10000개의 오브젝트가 Update를 호출 vs 1개의 오브젝트가 10000번 Update 호출
-후자가 월등히 빠름
'오늘의 나는 무엇을 잘했는지' - 성취
개인과제- ATM기의 UI 배치를 작업 중이다..
'오늘의 나는 어떤 문제를 겪었는지, 앞으로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' - 개선
판넬 위에 UI들을 올려놓을 시, 판넬의 스케일 값을 조정함에 따라서 판넬에 속한 UI들도 같이 크기가 비례해서 증감한다는 사실을 알았다.
따라서 크기 비율 증감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메세지 창 같은 하얀 뒷배경에 UI들을 올려두고 싶다면 Image를 놓고 그 위에 UI들을 놓는 편이 효율적이며, 하얀 배경 없이 UI들을 한 오브젝트를 같은 부모로 두도록 묶고 싶은 경우 빈 오브젝트를 패런츠로 삼는게 낫다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/2/6 TIL (0) | 2024.02.06 |
---|---|
2024/2/5 TIL (0) | 2024.02.05 |
2024/2/1 TIL (0) | 2024.02.01 |
2024/1/31 TIL (0) | 2024.01.31 |
2024/1/30 TIL (0) | 2024.01.30 |